본문 바로가기
  • 행복의 유효시간은 지금
반응형

종묘3

창경궁 종묘 연결구간, 궁궐담장길 풍경 창경궁 종묘 연결구간, 궁궐담장길 풍경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는 강제병합 직후인 1912년에 경성부 시구개수를 세우고 그 사업의 일부로 종묘 뒤를 관통하는 북부횡단간선도로 개설을 추진했습니다.순종과 조정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31년 끝내 착공을 강행해 1932년 4월 22일에 종묘관통도로(현재 율곡로)를 개통하면서 본래 연결되어 있던 창덕궁, 창경궁과 종묘의 지맥이 끊기면서 원래 모습이 크게 훼손되고 말았습니다. 이후 서울시에서 역사 복원사업을 통해 90년 만인 지난 2022년에 창경궁~종묘 연결 구간의 궁궐담장길을 복원했고, 자유롭게 산책할 수 있도록 조성했습니다.기존의 율곡로는 지하터널로 만들면서 4차선 도로를 6차선으로 확장해 많은 교통량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습니다. 서순라길의 종묘 담장계단 위로 올라가면 창경궁~종묘 궁궐담장길이 만들어.. 2024. 9. 3.
일제가 갈라놓은 창경궁과 종묘 연결, 90년 만의 숙원(7/22 개방) 일제가 갈라놓은 창경궁과 종묘 연결, 90년 만의 숙원(7/22 개방) 일제가 갈라 놓았던 창경궁과 종묘가 창경궁-종묘 연결 역사복원사업이 완료되면서 7월 21일 오후 3시에 시민개방행사를가지고 90년 만에 개방한다고 합니다. 창경궁과 종묘는 원래  담장을 사이에 두고 하나의 숲으로 이어져 있었다고 합니다.그런데 일제의 조선총독부가 1932년 종묘관통도로(지금의 율곡로)를 개설하면서 연결로가 단절되어 왔던 것입니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연결되어 동궐이라 부르면서 독립적인 궁궐 역할과 창덕궁의 모자란 주거공간을 보충해주던 궁궐이었으며, 국보 1점과 보물 7점, 등록문화재 1점이 있습니다. 종묘는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위패)를 모신 왕가의 사당으로, 국내 최초로 등재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곳입니다. 창경궁 나들이(조선궁궐)종묘 설경(눈내린 종묘풍경) 이렇게 창경궁-종.. 2022. 7. 21.
종묘 돌담길 너머 서순라길, 그리고 색동박물관과 대각사 풍경 종묘 돌담길 너머 서순라길, 그리고 색동박물관과 대각사 풍경 종로에 가면 요즘 산책하기 좋은 길이 하나 생겼더군요.종묘 서쪽 담장을 따라 걷는 서순라길이라고 하는 곳인데, 다른 곳보다 단풍이 예쁘게 물들어 제대로 된 가을을 느끼게 하는 풍경입니다. 서순라길은 창덕궁 정문에서 길 건너 좌측의 골목에서 시작하여 종로3가역 11번 출구가 있는 곳까지 이어지는 길을 말하는데요.종묘의 서쪽 담장을 따라 길게 이어진 800여 m의 길입니다. 과거에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 그리고 추존왕과 왕비의 신를 봉안한 사당인 종묘를 순찰하는 순라청이 있었고, 그 서쪽에 위치하여 서순라길이라는 도로명이 생겼습니다. 가을이 익어가는 서순라길 가을 풍경과 그 골목에 위치한 한국색동박물관과 도심 속 사찰 대각사 풍경을 담았습니다. 창덕궁이 일직선으로 보이는 돈화문로,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 .. 2021. 10. 27.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