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행복의 유효시간은 바로 지금입니다~
경기도.인천시 여행

평화누리길 1코스(김포 염화강 철책길)

by 해피이즈나우 2025. 4. 7.
반응형

포근한 봄날씨에 대명항으로 드라이브를 왔습니다.

대명항 수산시장과 젓갈매장을 구경하고, 김포함상공원을 둘러보며 여유로운 휴일을 즐겼습니다.

 

대명항 대명포구, 젓갈 및 수산시장(어시장) 풍경

김포함상공원 입장료(운봉함) 및 야외 전시장 풍경

 

 

김포함상공원에서 덕포진으로 가는 길은 평화누리길 1코스가 시작되는 곳입니다.

김포 평화누리길 1코스로 염화강 철책길이라고도 하는데요.

 

아직까지 분단으로 만들어진 철책선을 따라 걸으면서 염하강이라 불리는 강화해협을 조망할 수 있는 걷는 길입니다.

잠깐이지만 평화누리길을 걸으면서 철책과 염화강을 구경하고 평화누리길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대명항 북쪽 김포함상공원 옆에 있는 평화누리길 입구

 

평화누리길 DMZ 접경지역인 김포시, 고양시, 파주시, 연천군 등 경기도 4개 시군을 잇는 최북단 걷는 길입니다.
한국 전쟁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평화염원의 길로 2010년에 개장했습니다.
 

평화누리길은 김포 3코스, 고양 2코스, 파주 4코스, 연천 3코스총 12개 코스 189km의 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분단의 상징을 접하는 것은 물론 경기도의 다양한 역사 유적은 물론 마을 안길, 논길, 제방길, 해안 철책, 한강 하류, 임진강 등 다양한 길을 접할 수 있는 길입니다.


평화누리길의 시작점인 대명항의 평화누리길 1코스(염화강 철책길인)로 덕포진과 고양리쉼터를 지나 문수산성 남문에 이르는 김포 39km 중 14km 구간입니다.

김포 평화누리길 입구의 포수와 포미

 

물방울 모양을 형상화한 포수는 김포의 포와 물 수자 합성어로 물과 운하의 도시인 김포를 상징하고,

쌀 모양을 형상화한 포미는 김포의 포와 쌀 미를 합성해 김포금쌀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김포시, 고양시, 파주시, 연천군 등 경기도 4개의 시군에 걸쳐있는 평화누리길 지도

결기둘레길이기도 하며 다음과 같은 가볼만한 곳이 있습니다.

 

김포시 - 대명항, 덕포진,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문수산성, 전류리포구

고양시 - 행주산성, 호수공원, 노래하는 분수대, 킨텍스

파주시 - 프로방스, 출판도시, 율곡습지공원, 임진강 평화누리, 화석정

연천군 - 고대산, 경순왕릉, 신탄리역, 연천 숭의전지

 

평화누리길 전체 12코스 소개

(나무위키 참고)

 

12개 코스, 189km 종주에 성공하면 종주를 인증할 수 있는 특별한 기념품을 주기도 하고, 연간 종주자들을 대상으로 연말 평화누리길 종주자 걷기 이벤트를 개최해 추첨을 통한 경품도 증정한다고 합니다.

 

평화누리길 1코스(염화강 철책길)

 

대명항 ~ 덕포진 ~ 부래도 ~ 전망대 ~ 고양리 쉼터 ~ 전망대 ~ 포내리 ~ 문수산성 남문

평화누리길 시작점으로 바다 건너 강화도를 바라보며 덕포진과 부래도, 염화강을 따라 철책길을 걷는 구간입니다.

 

염화강 철책길 순환코스는 조선시대 신미양요와 병인양요 때 서구열강과 치열하게 싸웠던 천혜의 지형을 이용해 설치한 군영인 덕포진을 순환하는 코스입니다.

 

 

강화군과 김포시 사이에 있는 해협을 강화해협이라고도 부르고, 염하 혹은 염하강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강화도 들어가는 북쪽에 강화대교가, 남쪽에 초지대교가 건설되어 있습니다.
 
염하강은 북쪽의 월곶과 남쪽의 황산도 사이의 해수면의 높이차가 커서 물살이 무척 빠른 곳인데요.
물길이 빠르고 밀물과 썰물 차이가 심해서 숙련되지 않은 뱃사공은 이 물길을 건너지 못했다고 하는 손돌목이 있는 곳입니다.

 

평화누리길 1코스는 우리나라 서해안을 따라 걷는 서해랑길 100코스에 해당하기도 합니다.

 

서해랑길은  전남 해남 땅끝마을부터 인천 강화도까지 서해안에 인접한 31개 기초자치단체의 109개 걷기길, 약 1800km 구간을 연결한 국내 최장거리 걷기 여행길인데요.

 

동쪽길인 해파랑길부산 오륙도해맞이공원에서 시작해 강원도 고성 통일전망대까지 이어진 10개 구간, 50개 코스 770Km의 길이고,

남쪽길인 남파랑길 부산 오륙도해맞이공원에서 시작해 전남 해남 땅끝마을까지 이어진 90개 코스 1,470Km의 길입니다.

 

이들을 코리아 둘레길이라고 하며, 여기엔 평화누리길, 올레길, 서해안길 등도 포함됩니다.

 

대명항~승마산 숲길 순환코스

이젠 우리나라 어디를 가나 걷는 길 한 두 개는 기본인 듯합니다.

 

평화누리길 시작점에서 덕포진 입구까지 약간의 길만 걷기로 했습니다.

 

염화강 철책길 시작지점부터 철책길

한강 하류이면서 북한과 인접한 곳이라 아직도 철책선과 군부대 경계는 계속되고 있는 곳이네요.

 

평화누리길은 걷는데 익숙지 않은 여행자들을 위해 5개의 초보자용 순환형 코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평화누리길 1코스 염하강 철책길을 비롯해 4코스, 6코스, 11코스, 12코스 등이 해당됩니다.

 

강화해협(염화강)

누가 보면 강이라고 부를 수도 있는 곳이죠.

 

평화누리길 1코스는 보시는 대로 걷기 무척 편한 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평화누리길에는 2011년 마을미술 프로젝트로 꿈꾸는 염하강이란 주제의 작품을 설치하여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군부대 반공막

 

염화강 철책길 옆에 있는 바다 전망의 예쁜 카페 일칠공

평화누리길을 걷다가 잠시 들러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기에 무척 좋은 카페였습니다.

 

대명항 바다전망 카페, 평화누리길(1코스)의 여유로움이 묻어나는 카페 일칠구

 

염하강 철책길 순환코스 안내표지

 

낮에는 군인들이 경계근무를 서지 않지만, 밤엔 아직도 경계근무를 서고 있습니다.

 

철책길 옆 논

 

민들레 홀씨를 날리는 조형물

 

덕포진 앞 공터

이 위에는 김포 신안리 신석기마을 유적이 발견된 곳으로 출입을 금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대 규모의 신석기 마을 유적이 될 가능성이 높아 문화유산 기념물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네요.

 

적포진 가는 길

 

언제 기회가 되면 편화누리길을 걸어보고 싶네요.

걷고 싶은 길이 너무 많은 행복한 고민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