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행복의 유효시간은 지금
서울시 여행

창덕궁 낙선재(석복헌, 수강재), 조선의 마지막 왕실공간인 조용한 별궁

by 해피이즈나우 2025. 5. 9.
반응형

창덕궁은 태종 5년(1405)에 법궁인 경복궁의 이궁으로 지어졌습니다.

조선왕조 5대 궁궐 중 하나로 두 번째로 지어진 정궁이며,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10년(광해군 2) 궁굴 중 처음으로 다시 지어졌으며, 1867년 경복궁이 중건될 때까지 약 270여년 동안가장 오랜 시간 사용해 실질적인 법궁역할을 한 곳입니다.


창덕궁은 인접해 있는 창경궁과 경계 없이 ‘동궐’이라는 별칭으로 불렸는데요.

창덕궁은 다른 궁궐에 비해 인위적인 구조를 따르지 않고 주변 지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자연스럽게 건축하여 가장 한국적인 궁궐이라는 평가를 받아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바 있습니다.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배치와 아름다운 후원이 특징이죠.

 

 

창덕궁에는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공간도 여럿 있는데요.

대조전 부속 건물인 흥복헌은 1910년 경술국치가 결정되었던 비운의 장소였고,

낙선재 권역은 광복 이후 대한제국의 마지막 황실 가족(순정황후(순종 두 번째 황후), 의민황태자비(이방자 여사), 덕혜옹주(고종의 딸))이 생활하다가 세상을 떠난 곳이기도 합니다.

 

창덕궁은 크게 5권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입구인 돈화문, 내의원과 규장각 등이 있는 궐내각사, 인정전, 대조전, 희정당이 있는 중심권, 조선왕실의 마지막 공간이었던 낙선대 그리고 창덕궁 후원이 아닐까 합니다.

 

사진을 많이 찍다 보니 아래와 같이 창덕궁을 4개 권역으로 나누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여기서는 조선의 마지막 왕실공간이었던 조용한 별궁, 낙선재(보물)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문화가 있는 날 서울 고궁 관람, 창덕궁 돈화문과 입장료 등 관람안내

창덕궁 궐내각사 전각 탐방 - 내의원, 규장각, 옥당

창덕궁 중심 전각들 - 인정전, 선정전, 희정당, 대조전, 성정각

창덕궁 낙선재, 조선의 마지막 왕실공간인 조용한 별궁

 

다음은 창덕궁 풍경을 유튜브로 제작한 영상입니다.

 

창덕궁 성정각 앞, 창덕궁 후원 입구에서 우측의 별도의 공간으로 들어가면 창덕궁 낙선재 일원이 있습니다.

 

맨 좌측이 낙선재, 우측에 석복헌과 수강재가 있으며, 이 3개의 건물을 낙선재라 부르고 있습니다.

이들 건물 뒤에는 화초와 석물, 꽃담 굴뚝 등의 아름다운 화계가 있고, 그 뒤로는 상량정, 한정당, 취운정이 있는데요.

넓게는 이들 모두를 포함해 낙선재 권역이라 부르고 있습니다.

 

봄을 맞이한 창덕궁 낙선재 일원은 철쭉으로 화사합니다.

 

창덕궁과 창경궁 경계에 위치하며, 낙선재의 ‘낙선’은 ‘선을 즐긴다’라는 뜻입니다.

원래 창경궁에 속해 있던 건물이지만 지금은 창덕궁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낙선재 공간은 세자를 위한 공간으로 만들어진 낙선당이 있었던 곳으로, 영조 대에 화재로 철거된 후 방치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이후 조선 24대 헌종은 선대인 정조를 닮고자 하여 낙선재를 지었고, 헌종의 서재 겸 사랑채로 사용하였습니다.

 

 

낙선재 건립 이듬해인 1848년엔 후궁인 경빈 김씨를 위해  석복헌( 복을 내려줌)을 지었고, 그 옆엔 대왕대비였던 순원황후 김씨(순조의 왕비)의 처소인 수강재(오래 살고 건강함)를 지었는데요.

정비가 아닌 후궁 건물과 순원왕후의 건물이 나란히 배치된 부분은 경빈 김씨의 위상을 높이려는 헌종의 의지가 담겼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근현대에 들어서서 낙선재는 국권을 빼앗긴 조선 황실의 마지막을 보여주는 공간이 되었는데요,.

황실 여인들이 최후를 마친 곳으로 많이 알려졌습니다.

 

1884년 갑신정변 이후 고종이 집무실로 사용하기도 했고, 순종은 국권을 빼앗긴 이후 낙선재에서 거주하였고 순정효황후는 석복헌에서 생활했고 이곳에서 생을 마쳤습니다,

1963년 환국한 영친왕 이은과 이방자는 낙선재에서 생활했고, 마지막 황실 가족인 덕혜옹주는 수강재에서 머무르며 마지막 조선 왕족이 살았던 곳이 되었습니다.

 

2005년 영친왕의 아들 이구가 사망하자 이곳에 빈소를 설치하여 조선왕실과 대한제국 황실 최후의 빈소가 되었습니다.

2012년 보물 1746호로 지정했습니다.

 

낙선재 옆 돌계단의 멋스러운 소나무

그리고 그 뒤로 승화루와 평원루(상량정)가 있습니다.

 

평원루의 현재 이름은 상량정이며, 시원한 곳에 오른다라는 의미라고 합니다.

1830년대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순종 시기엔 평원루, 일제강점기에 상량정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합니다,

 

미개방 구간이고, 상량정엔 11칸짜리 서고가 있고, 벽돌 문양의 벽과 보름달처럼 둥근 만월문이 매력적인 곳이라 합니다.

 

낙선재 일원 모습

 

낙선재 정문은 장락당으로 낙선재 남행각 12칸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곳이 낙선재

 

낙선재는 정면 6칸 중 우측 한 칸이 전면으로 돌출되어 누마루가 되었고, 몸채는 장대석 기단 위에 방형 초석과 기둥을 한 일반적인 주택풍으로 세워졌습니다.

누마루의 아래 분구 있는 주변은 불규칙한 선의 모자이크 장식이 독특하며 주간의 문짝의 무늬가 다양합니다.

 

뒤로는 큰 석재로 쌓아 만든 화계가 있고 굴뚝과 각 단의 꽃나무, 괴석들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조원이 뛰어난 모습입니다.

 

화계는 살림집이나 굴궐, 절 등의 뒤뜰에 층계모양으로 단을 만들어 단마다 화초를 심은 정원 같은 공간을 말하는데요.

우리나라 정원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낙선재 화계 뒤에 있는 상량정

 

낙선재 서쪽 누마루 모습

마루와 온돌방이 일자로 연결되어 마당과 뒷 공간이 다 보이도록 되어 있고, 마루와 온돌방 사이에 둥근 모양의 문이 특이합니다.

 

낙선재 문에서 바라본 마당에 핀 철쭉

낙선재 동남쪽에 작은 문이 있는데 이 문을 지나면 행랑이 보이고, 행랑을 지나면 석복헌이 연결됩니다.

 

낙선재 옆 석복헌으로 들어가는 문

 

낙선재 석복헌

 

정면 6칸, 측면 2칸으로 안채에 해당하는 건물로 헌종의 후궁 경빈 김씨가 머물렀던 곳입니다.

1917년 대조전이 화재로 불타자 순종과 순정효황휴가 석복헌을 잠시 침전으로 이용했으며, 1966년 순정효황후가 이곳에서 생을 마감했습니다.

 

3급 장대석 기단에 계단이 둘 설치되어 있고, 전면의 주간에는 세장한 장지문이 달렸는데 그중 중앙 1칸은 머름을 하여 낮고 문살 모양도 다른 문과 다르게 생겼습니다.

 

건물 주위로 행각이 둘러쳐 있고, 밖으로는 외행각이 나 있는데 동쪽의 작은 문으로 나가면 수강재로 이어집니다.

 

석복헌 뒤에도 큰 석재로 쌓아 만든 화계와 굴뚝이 조성된 아름다운 모습입니다.

 

석복헌 화계 뒤에는 한정당이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17년에 지은 것으로 보이며, 정면 3칸, 측면 2칸 건물입니다.

비공개 구역이며, 한가롭고 고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수강재 뒤쪽 화계에 있는 작은 문으로 들어가면 취운정이 있는데, 비공개구역이라 가까이에서 볼 수는 없습니다.

푸른 구름이라는 의미이며, 1686년(숙종 12)에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지은 뒤 오늘에 이르고 있는 정자입니다.

 

낙선재 수강재

 

수강재는 낙선재 권역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태조 시절 옛 수강궁 터였던 데에서 이름이 유래하고 있습니다.

15칸 규모로  5량 가구의 홑처마 단층 기와지붕을 한 건물입니다.

 

 

1785년(정조 9)에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위해 창경궁 자경전을 지으면서 남은 자재로 지은 것이 수강재인데요.

원해 임금의 서재, 세자가 공부하는 곳으로 지었으며, 효명세자가 별당으로 사용했고, 헌종 때 낙선재를 짓고 낙선재 권역에 포함시키면서 대왕대비 순원왕후가 머물게 되었습니다.

 

1962년에 일본에서 고종의 딸 덕혜옹주가 돌아온 뒤, 1989년 4월 21일 서거하기 전까지 이곳에서 살았습니다.

 

수강재 동북쪽은 창경궁에 해당되며, 좌측은 취운정으로 들어가는 작은 일각문이 또 있습니다.

 

수강재 동쪽엔 2개의 창고가 있는데요.

하나는 팔작지붕, 다른 하나는 맞배지붕으로 되어 각각의 지붕이 다른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낙선재 앞 매화밭

수십여 그루의 백매와 홍매가 자라고 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창덕궁 낙선재는 가끔씩 열리는 창덕궁 달빛기행 코스로 야경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곳입니다.

창덕궁보다는 창경궁에 가깝고, 창덕궁과 동떨어진 곳이라 그냥 지나치기 쉬운 곳이 낙선재이기도 합니다.

 

조선 마지막 왈실공간인 별궁, 낙선재를 생각하면 덕혜옹주가 생각납니다.

고종이 그토록 사랑했던 딸이지만, 고종이 죽은 후 일제는 덕혜옹주를 강제로 일본으로 유학시켰죠.

행복하지 않은 일본생활과 결혼생활로 인해 몽유병과 조현병 증세를 보였고, 해방 후 우여곡절 끝에 1962년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피폐해진 심신으로 온전한 삶을 살지 못하고 1986년 76세의 일기로 수강재에서 사망한 비운의 삶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