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행복의 유효시간은 바로 지금입니다~
서울시 여행

광화문광장 세종충무공이야기, 세종이야기

by 해피이즈나우 2022. 11. 4.
반응형

광화문광장 세종충무공이야기, 세종이야기

 

 

광화문광장은 재구조화 공사를 마치고 지난 8월 초에 다시 개장을 했습니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을 관람하고 광화문역으로 향하다가 세종충무공 이야기 전시관이 있어서 들렀네요.

 

재개장한 광화문광장 풍경

종로 가볼만한 곳,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광화문광장에는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고 자랑스러워하는 우리나라의 역대 가장 위대한 영웅 세종대왕과 충무공 이순신 장군 동상이 위풍당당하게 세워져 있습니다.

광화문광장, 세종문화회관 지하에는 두 영웅을 기념하는 전시관이 있는데 그 전시관이 바로 세종충무공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광화문 세종충무공이야기 전시관 중에서 세종이야기 전시관을 담았습니다.

 

세종충무공이야기로 진입하는 곳은 세 군데가 있습니다.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지하로 들어가는 방법, 광화문역 2번 출구 앞 지하 계단으로 들어가는 방법, 세종대왕 동상 뒤편 등입니다.

 

광화문 세종이야기와 충무공이야기 전시관 안내도

서로 붙어 있으며 지하공간인데도 불구하고 제법 넓은 공간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세종이야기 관람안내

 

관람시간 10:00~18:30(30분전 입장마감)

휴무일(휴관일) 매주 월요일(월요일이 공휴일이면 다음날 휴무)

입장료(관람료) 무료

주차장 없음(세종대로 공영주차장 이용, 유료)

 

세종대왕 어진

세종이야기는 우리 역사의 위대한 성군,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전시공간입니다.

 

어좌와 일월오봉병

 

어좌는 임금님이 앉는 의자이며, 그 의자 뒤에는 항상 일월오병병을 배치했습니다.

일월오병병은 해와 달, 5개의 봉우리, 물결, 소나무 등이 병풍에 그려진 그림으로 일월오악도, 일뤌곤륜도라고도 부릅니다.

 

현전하는 세종시대의 우리 음악

보태평(종묘제례악, 왕조의 문덕을 찬양하는 음악), 정대업(종묘제례악, 선조들의 무공을 찬미하는 음악), 여민락(임금의 나들이나 궁중의 잔치 때에 연주하던 아악곡) 등

 

인간, 세종에서는 세종대왕의 출생지, 가족관계, 품성과 취미 등을 소개하고 세종의 연대기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세종대왕의 음악적 업적

 

음악을 기록으로 영구히 남기기 위한 특별한 기보방법인 정간보 창안

아악, 당악, 향악을 회례에서 함께 연주하는 것으로 아악을 새로 제청하여 국악의 기초확립

박연으로 하여금 궁중 음악인 아악을 재구성하는 등 아악을 정리

 

편종과 편경

 

편종은 쇠붙이로 된 유율 타악기로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로부터 들여와 궁중 제례악에 사용했습니다.

세종 11년(1429)에는 주종소를 설치하여 국내에서 만들어 사용했다고 합니다.

 

 

편경은 돌로 된 유율 타악기로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나라로부터 들여와 궁중제례악에 사용했습니다.

세종 7년(1425) 경기도 남양에서 경돌이 발견되어 국내에서 제작되기 시작했습니다.

 

세종대왕이 이루어낸 과학과 예술의 업적을 소개하고 있는 곳으로 해시계인 앙부일구와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천상분야열차지도

우리나라에서 관측한 1467개의 별과 282개의 별자리를 돌에 새긴 것입니다.

 

세종대왕이 발견한 발명품들

적도의, 천자포, 황자포, 신기전, 구포, 수표, 혼상, 편종, 일성정시의 등 많기도 합니다.

 

어진 임금이 발탁한 충신

 

장영실은 관노였으나 세종이 그의 재주를 인정하면서 앙부일구, 물시계, 자격루, 자동물시계 옥루, 천문관측 기구 규표와 간의, 혼천의 등을 발명한 조선 최대의 고학자입니다.

박연은 세종에게 음악을 위임받아 조선 최고의 음악가로 활약했습니다.

김종서는 육진 개척의 공로가 크고 유능한 문관이었으며 충신이었습니다.

 

세종의 군사정책

신기전은 1448년(세종 30)에 만들어진 조선시대 로켓추진 화살로 세계 최초로 발명된 다연발 로켓병기입니다.

 

찌아찌아족의 한글이야기

 

찌아찌아족은 인도네시아 슬라웨시 주 부톤 섬의 바우바우시에 사는 소수민족으로 인구는 8만여 명입니다.

고유의 언어를 가지고 있었으나 문자가 없어 그들의 고유어를 잘 보존하기 위해 한글을 표기해 적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글 창제 원리

 

훈민정음은 1443년(세종 25) 음력 12월에 만들어져 3년 동안 다듬고 이를 실제로 써 본 후에 반포되었습니다.

처음엔 28자였으나 아래아, 여린히읗, 반시옷, 옛이응이 사라지고 지금은 24자만 쓰고 있습니다.

 

 

 

훈민정음해례본에 따르면 자음 기본자인 ㄱ, ㄴ, ㅁ, ㅇ, ㅅ은 사람의 발음기관을 본떠 만들었고, 초성 17자는 이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나머지 글자를 맏들었습니다.

중성 11자는 천, 지, 인의 모양을 본떠서 기본자를 만들었고, 나머지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배합해 만들었습니다.

 

국보 70호인 훈민정음해례본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반포한 책으로 세종 어제의 본문, 집현전 학사들이 지은 해례, 정인지의 해례 서문으로 되어 있습니다.

 

한글 창제 이야기

 

백성을 사랑한 세종대왕

 

부민고소금지법(백성이나 하급 관리가 수령의 잘못을 고발하는 것을 금지한 법)

노비출산 휴가제도(관노에게 출산 1개월 전부터 복무를 면제하게 해주는 등 총 130일의 출산휴가 부여)

전세제도 여론조사(전세제도의 폐해를 해결하기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함)

 

한글갤러리

 

한글도서관

세종대왕과 충무공 이순신 관련 서적과 다양한 분야의 도서를 읽을 수 있는 공간입니다.

 

 

다음은 광화문 세종충무공이야기 전시관 중에서 충무공이야기 전시관입니다.

 

광화문광장 세종충무공이야기, 충무공이야기

 

728x90
반응형

댓글